대장클리닉
변비란

사회 문화적 차이, 식생활의 차이, 개인간의 차이가 심해져 객관적인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지만 배변의 횟수가 정상적인 경우보다 적거나 변이 딱딱하게 굳어져 배변시 힘들고 고통스러운 경우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일주일에 2번 이하 또는 3일 이상 배변이 없을 때, 하루에 35g 이하의 변을 볼 때 변비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변비의 가장 많은 원인은 잘못된 식생활입니다. 충분한 양의 섬유질을 섭취하지 못하고, 무분별한 다이어트로 식사를 적게하고 물을 적게 먹고 변비를 일으키는 음식을 섭취할 경우 등입니다. 둘째는 운동이 부족하거나 변이 마려울 때 참아 버리는 횟수가 잦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작업 환경에서 일을 하거나 여행, 입원 등의 환경변화 등에 의해서도 발생합니다.

변비는 대장에 양성 혹은 악성종양 또는 장폐쇄나 염증에 의해 장이 막히거나 운동이 원활하지 못할 때 또는 항문폐쇄 증후군, 대장의 신경이나, 근육의 이상을 초래하는 질환 등 대장이나 소장의 이상으로 올 수 있습니다.

기타 뇌종양이나 파킨슨씨병, 뇌손상, 척추손상, 디스크 등의 신경계 이상이나 우울증 등의 정신과적 질환이 있어도 발생할 수 있으며, 호르몬이나 대사장애, 약물복용 등의 원인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잘못된 식생활 습관, 장관의 기능적 또는 기질적 이상으로 발생합니다.

변비의 치료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한 병력청취 및 의학적 검사입니다.

직장 및 항문 부위에 정확한 검사를 받고 대장조영술, 대장내시경, 소장 및 대장통과 시간검사, 비디오 배변 조영술, 항문압 측정 등의 특수검사를 시행하여 변비의 원인을 밝혀 원인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치료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하제가 있습니다.

식이섬유제, 윤활제, 연변완화제, 염류성하제, 자극성하제, 좌약 등이 있는데 변비의 원인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장의 기질적인 이상이나 항문폐쇄를 유발하는 여러 가지 질환들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환자 개개인에 알맞은 적절한 약제를 단계적으로 투여함으로써 변비를 치료할 수 있습니다.

비록 빈도는 적지만 이상과 같은 일반적인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거나 난치성의 변비, 대장의 무기력증이 원인인 경우나 선천성 거대결장, 직장류, 직장탈 등에 의한 변비는 정확하게 진단한 후 적절한 수술을 통하여 변비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변비는 장기간에 걸쳐서 나타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원인 질환들에 대한 적절한 진단이 내려진 후 단계적으로 치료해 나아가야 하며, 효과가 급하게 나타나는 여러가지 자극성 하제의 사용을 피해야 합니다.